개인적으로 포스트 모더니즘은 제가 애착(?)을 갖고 있는 이론이지요.

어쨋든 신디 셔먼의 사진을 보면서 유하의 시들이 떠올랐습니다.

작품 하나하나에 어떤 미학적 감동이 깃들이거나 하지는 않지만

대신 친근한 느낌으로 술술 넘겨보는 사이 다가오는 재미, 신선함은

모더니즘에서 주창하는 '아우라'와는 다른 예술적 성취를 이끌어 내는 것 같습니다.

대중문화(에로영화, 만화, 무협소설 등..)를 시의 내용으로 적극 끌어들인 유하의 시에는

딱히 외우거나 음미할만한 싯구절은 없지만(전혀 없지는 않지만서도)

셔먼의 사진들과 마찬가지로 익숙한 이미지들의 행렬이 이어지는 가운데

기존예술의 형식과 관점을 뛰어넘는 발랄함이 보입니다.

물론 궁극적으로 전하고자 하는 바는 두 작가가 서로 다르지만..

하지만 포스트 모더니즘은 다다이즘이 그러하였듯 '전망'이 없는 이론이란게 제 생각입니다.

또는 그 생명이 짧을 수 밖에 없겠다 싶기도 하고..

셔먼에게 더이상 나아갈 길이 없는 것처럼..

그래도 꽤 오랫동안 자신의 모습을 다양하게 변용해 온걸 보면 셔먼은 대단한 작가라고 여겨집니다.  

그리고 전 포스트 모더니즘에 대한 애착을 떨치지 못할 것 같습니다.

포스트 모더니즘의 '도전정신'을 좋아하거든요. 중심-권력에 대한 해체..

하여 늘 문제제기의 역할로서만 유효할지 모르는 이론입니다만..

포스트 모더니즘.. 모르면 좀 어때..

아는 만큼 보이는 것도 있지만 예술작품의 감상이 이론적 틀에 얽매여서는 곤란하겠지요..

자기 멋대로 보는 것이 우선은 기본인 것 같습니다.

이러쿵 저러쿵 하는 해석들은 참고나 하면 그만인 것이고..

음.. 글고..

삶에 있어서 '타이밍'이란 게 얼마나 중요한지 느끼게 됩니다. 일종의 숙명이랄 수 있는데..

너무 일찍 만났네, 늦게 마주친 인연이네.. 어쩌구 하듯이

예술가들도 시대를 잘못 만났네, 잘 타고났네 그런 소리들을 하잖아요.

예술가들이 뜨고 지는 데 시대를 만나는 '타이밍'이 참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 같습니다.

그 시대를 읽고 시대와 몸을 섞는 작가들도 있고요.

작가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 그러한 점들도 고려되어야 할 듯..

눈 오는 날의 고속도로를 좋아합니다.

길위, 무수한 상념의 날개들..

이만총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