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easgursky070521_560.jpg

 

구르스키에 관한 이야기

구르스키의 사진은 이곳저곳에서 90년대 후반부터 제눈에 보이기(?) 시작하였습니다.
적지 않은 크기의 사진들은 엄청난 위암감을 주긴 하였지만
그가 누구인지, 어떤 접근 방법인지를 모르면서
단순히 크기에 의한 압도와 섬세한 디테일로 보는 사람을 주늑들게 만들었습니다.
책에서 접해지는 사진들은 나의 상상력을 동원하여 보게 만들었지만 한번 보았던 사진의 느낌만은
책이 아무리 크게 인쇄가 되어 진다고 하더라도, 어떤 사이즈인지를 적어 놓았더라도 그것만으로도
그 설레였던 느낌을 언제나 가지며 바라보게 되는군요.
<노피곰닷넷 이원균>

구르스키라는 이름으로 인하여 처음에는 러시아계인줄로 얼마전까지 알고 있었고,
단순히 너무 정적인 사진만을 찍어 놓았던 그의 세계는 21세기에 맞아보이는 현대사진은 아닌걸로 보였습니다.

하지만 그 크기에 앞도 당한후 느껴지는 섬세한 디테일들은 무어라 표현할수 없는 감동을 저에게 전해주던군요..

내가 느끼는 그것이 그가 노리던 그것과 같을거라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뭐라해도 그의 사진을 보면 뿌듯한, 뭔가 아주 맛있는 음식을 배부르게 먹고 난듯한 마음을 가지게 되지만
현실로 돌아와 나는 왜 그렇게, 우리는 왜 그렇게 작업을 못하는지 궁금해지기는 합니다.
그것이 베허부부 식의 훈련이 없어서 일지도 모르지요.

아참, 구르스키는 베허 스쿨에서 사진을 배웠읍니다. 전 베허부부를 별로 라고 생각해서
나의 작품집 컬렉션에서는 전혀 취급하지 않았었습니다.
오가다보면 많은 사진집들이 존재하였지만 나는 그 들이 찍은 물탱크와 집들이 웬지 싫었습니다.
너무 폄협되었던 시각인지는 모르지만 그 부부의 사진속에는 현대적인 현대 사진들과는 거리가 있게 보여주었기 때문이었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진동선 선생님은 구르스키의 사진을 잔더의 연장 선상으로 보는것 같더군요.
그 이야기를 듣고 나서야, 독일식 신즉물주의의 연장으로의 구르스키와 베허부부를 보게 되었읍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랭거 패취와 아구스트 잔더를 베허 부부가 시각적 사상적 연장을 시켜
그 결과물이 나타나진것이 구르스키와 로프의 작품이 되어진것 같습니다.

좀 더 작품의 본질에 접근이 된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처음에 본것과 시간이 지나고 본것과 또 더욱 많은 시간이 경과한후에 보는것은 많은 다른 생각을 가지도록 만듦니다.
이것이 알음과 관련이 있을지도, 또는 경험에 의한것일지도 모릅니다만 구르스키의 사진은 앞으로 계속 주목을 해볼 가치는 충분히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노피곰닷넷 이원균>